부끄러움이 많은 아이 당당하게 키우기 [아이와 함께 실천하기 ]

반응형


아이와 함께 실천하기


1. 단합심
첫 번째 단계는 부모와 자녀가 한 팀이 되는 것이다.
부모는 사회불안을 극복하는 것이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는 데 아이가 동의하기를 바란다.
아이의 사회불안을 대신 극복해줄 수는 없으므로 자녀의 협조를 얻어야만 한다.
자녀와 함께 ‘단합심’을 키우는 동안 인정의 소통(“넌 있는 그대로 괜찮아”)과
변화의 바람(“새로운 걸 시도해볼 수 있어”)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해야 한다.


2. 동기부여
이미 이야기한 대로 아이들은 자신이 왜 불안해하는지 모를 수도 있다.
분명히 아는 것이라곤 어떻게 해서든 불안을 자극하는 상황을 피하고 싶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무엇을 잃거나 포기하는지를 깨닫지 못하기도 한다.
훌륭한 코치로서 부모가 해야 할 일은 아이가 불안을 극복했을 때 얻게 될
이점이 무엇인지 알도록 돕는 것이다.
자녀가 무엇을 이루어야 할지 함께 이야기해보자.
친구를 더 많이 사귄다거나, 특정 상황에서 마음이 더 편안해진다거나,
신체적 고통이 줄어들고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이를 리스트에 적어두는 것이 좋다.
아이와 함께 뽑아낼 수 있는 동기와 이점이 많을수록 좋다.
사회불안에 맞서고 극복하는 일은 큰 도전일 수 있다.
하지만 그로 인한 보답이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깨닫기를 바란다.
아이에게 설교를 해서는 안 된다.

사회불안을 극복하면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 말싸움을 벌여서도 안 된다.
가망 없다거나 아이를 변화시킬 수 없다는 생각은 버리고,
아이의 걱정을 이해하기 위해 최선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휘해야 한다.

3. 사회불안 훈련
건강한 몸을 만드는 것은 ‘건강한 사회성’을 키우는 일과 매우 비슷하다.
천천히 시작해야지 그러지 않으면 근육이 쑤셔 낙심하고 단념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랬다 저랬다가 아니라 일관되게 ‘훈련’을 계속해야 한다.
몇 주 쉬는 동안 훈련을 지속하지 않으면 그 감각을 잃게 된다.
유명한 육상 선수들이 매일 연습하는 것처럼, 대인관계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을 포함한 우리 대부분은 ‘사회적 근육’을 정기적으로 훈련시켜야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유추법이 어떻게 도움을 줄까?
우선 부모에게 행동계획을 지속하는 동기와 인내를 줄 수 있다.
부모는 코치로서 아이가 새로운 기술을 배우도록 돕고, 이를 연습하도록 격려한다.
아이가 ‘사회적 근육’을 훈련시키도록 계속해서 밀고 나간다.
자녀가 내키지 않아 한다면 이는 두려움 때문이며,
이 두려움에 맞서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둘째, 이러한 유추는 우리가 흥미롭고 재미난 방법으로 소개한 개념을
이용해 자녀를 이해하고 설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와 상담한 대부분의 아이들이 이 운동 유추법을 좋아했고,
실제 이 방법이 도움이 되었다.

게다가 ‘건강한 몸’의 은유는 사회불안을 다루는 과정을 일반화시킬 수 있다.
모든 사람은 사회적 기술을 키워야 한다.
여러분에게 무슨 문제가 있다는 뜻이 아니다.
이를 닦듯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3. 뇌물이 항상 나쁜 것만은 아니다
뇌물이 항상 나쁘지는 않다.
대부분 자녀에게 ‘뇌물’을 주지 말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어왔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행동을 강화시키는 또 다른 방법일 뿐이다.
무엇보다 말로 하는 칭찬은 언제나 효과 만점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칭찬이 자녀에게 얼마나 중요하고 소중한지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부끄러워하고 불안해하는 아이들은 대개 남의 마음에 들기를 원한다.
따라서 아이의 노력을 깨닫고 인정한다는 것을 알게 하면 이를 지속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데 큰 효과를 발휘한다.

4. 목표 세우기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기 위해 다음 질문에 답해보자.
물론 자녀와 이 질문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도망가지 않기를 바라는 사회적 상황은 무엇인가? / 그 상황에서 어떻게 느끼기를 바라는가?

보다시피 구체적인 질문에는 두 가지 요소가 들어 있다.
잘 대처하기를 원하는 상황과 그 상황에서 느낄 감정이다. 구체적인 목표의 예를 살펴보자.

- 수업 시간에 편안한 마음으로 손을 들고 싶다.
- 친구에게 전화를 걸 때 불안을 최소한으로 느끼고 싶다.
- 불안해하지 않고 독서 감상문을 발표하고 싶다.

5. 임무 정하기
임무는 대개 아이가 목표를 달성했을 때 일어날 특정 행동이나 사고, 감정의 변화를 뜻한다.
예를 들어 ‘가족 모임에서 좀 더 편안해지기’라는 목표를 세웠다면
그에 따른 임무는 모임 전에 짜증 내지 않기, 가족들과 눈 마주치고 인사하기,
가족들과 함께 식탁에 앉기 등이 될 수 있다.

자녀가 임무를 완수했다면 그에 따른 목표 또한 이룬 것이다.
특정 목표에 대한 임무를 정하는 또 다른 예를 살펴보자.

- 목표 : 학교에서 좀 더 편안해지기

- 임무 : 점심시간에 음식을 반 이상 남기지 않기 / 하루 종일 참지 말고 화장실 가기
선생님과 눈 마주치고 대화하기 / 학교에서 함께 이야기 나눌 친구를 적어도 한 명은 사귀기
아침에 배가 아프다고 불평 덜하기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